리스트 예시: 게시물이 존재할 경우 3건을 노출합니다.
-
AC모터(3상 유도전동기)의 구조 및 원리
AC 모터(Alternating Current Motor)의 작동 원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AC모터는 즉, 유도전동기입니다. 유도전동기는 다음과 같은 2가지 기본법칙을 응용한 전동기인데요. 첫 번째는 전자유도 법칙(도체가 자속을 끊으면 이것에 기전력이 유기되며, 이 기전력의 방향은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따릅니다.)이고, 두 번째는 자계와 전류 사이에 전자력이 작용한다는 법칙입니다. 즉, 왼손의 법칙이지요. 보통 우리는 오른손은 직류전동기, 왼손은 직류발전기를 이해할 때 사용하곤 합니다. 이 현상을 가지고 아라고의 원판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3상 AC모터, 농형모터와 권선형 모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3상 유도 전동기의 작동 원리 모터에 3상 AC 전원이 인가..
2023.08.12
-
3로 스위치 결선방법
오늘은 3로 스위치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스위치란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나 전기회로의 길을 열고 닫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전기를 흐르게 하고 흐르지 못하게 해주는 역할입니다. 이미 우리의 실생활에서 없으면 너무나 불편해지는 기구입니다. 요즘에는 시대가 발달해서 유튜브나 미디어 검색만 하더라도 많이 나와 누구나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는데요. 작업방법에 다하여 간단히 알아보고 3로스위치 결선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위치 교체 작업 방법 및 순서 준비물 : 장갑, +,- 드라이버 또는 전동드릴, 롱로즈나 펜치 1.두꺼비집 또는 집안의 분전함에서 '전등'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차단기를 내려줍니다. 만약 표시가 안되어 있다면은 방안의 천정등을 켜놓고 등이 꺼지는 차단기를 ..
2023.08.29
-
전기자반작용 교차자화작용 편자작용 정류작용 보극 보상권선
이번에는 전기자반작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자반작용은 말 그대로 전기자의 반대되는 작용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전기자반작용 계자의 자속이 N극에서 S극으로 모두 전달이 잘된다면 이론적으로는 정상입니다만, 실제로는 전기자에도 코일이 감겨있어 여기서도 자속이 나오는데 이것이 계자의 자속을 방해하고 자속분포를 찌그러지게 하는 것이 전기자 반작용입니다. 이때 전기자반작용이 생기면 전기적 중성점이 이동하고, 주자속이 감소, 국부적으로 전압이 불균등해집니다. 이 전기적 중성점에 브러시를 설치합니다. 교차자화작용 주자속이란 계자에서 나오는 자속을 얘기합니다. 전기자에서 나오는 자속은 주자속과 서로 직각의 자계를 갖는데요. 이렇게 주자속과 전기자 자속이 교차하는 것을 교차자화작용이라 합니다. 편자작용 실제로 ..
2023.08.15
-
직류발전기 회로도 유기기전력 식 구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직류발전기의 유기기전력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에 수식을 사용하는 방법을 찾다가 드디어 오늘 시험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발전기유기기전력 구하기 직류발전기의 구조 이번에는 직류발전기의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자(F: field) 계자는 철심과 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자철심은 0.8~0.16mm 정도의 연강판으로 성층 하며 계좌권선은 연동선을 사 worldtree2023.tistory.com 직류발전기의 유기기전력과 권선법 이번에는 직류발전기의 유기기전력과 권선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유기기전력은 말 그대로 유기(유도)되는 기전력인데요. 유기기전력 자계 중(자석에는 무수한 자속이 나오게 되는데 이 worldtree2023.tistor..
2023.08.25
-
전자유도현상,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 왼손법칙, 패러데이 오른나사법칙
전자유도 이 현상은 1831년 페러데이(Faraday)가 처음 발견한 것인데, 전기회로와 쇄교 하고 있는 자속이 변화할 때, 또는 한 회로의 일부 도체(폐회로가 된 전선의 한 부분)와 자속이 상호운동에 의하여 도체가 자속을 끊을 때 그 전기 회로에 기전력이 유기된다. 이 현상을 전자유도작용이라고 합니다. 이때의 기전력을 유기기전력(induced electromotive force)이라고 한다. 플레밍의 법칙 플레밍의 왼손법칙 자계내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체를 놓아두면 여기에는 전자력이 작용하는데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F=Bli [N] 쉽게 설명하자면, 자계 중에 도체에 전류를 흘리게 되면 F의 방향으로 힘(전자력)이 생긴다는 말입니다. 이때 자속밀도 B [wb/m^2], 도체의 길이 l [m], 흐..
2023.08.15